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삶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by 다니엘황 2024. 9. 4.
728x90
반응형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우울, 불안과 같은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다양한 심리상담 서비스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그중 하나가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들에게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정신건강을 돌보고, 정신질환을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사업 목적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의 가장 큰 목적은 국민들의 마음건강을 돌보는 것입니다. 이 사업은 우울, 불안 등으로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전문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하여, 정신질환의 사전 예방과 조기 발견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서비스 대상

 

서비스는 우울, 불안 등의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합니다. 나이와 소득 기준은 없으며, 다양한 기관에서 심리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정받은 자들이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정신건강복지센터, 대학교 상담센터,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정신의료기관 등에서 심리상담의 필요성이 인정된 경우 지원이 가능합니다.

 

서비스 지원대상 제외

약물・알콜중독, 중증 정신질환(예: 조현병 등), 심각한 심리적 문제(급박한 자살위기 등)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경우

아동청소년 심리지원서비스, 아동청소년 정서발달 지원서비스, 정신건강토탈케어 서비스,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성인 심리지원서비스를 지원받고 있는 경우

 

지원 내용

 

지원 내용은 총 8회기의 전문 심리상담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1회당 7만 원에서 8만 원에 이르며, 정부지원금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은 본인이 부담하게 됩니다. 본인부담금은 기준 중위소득에 따라 달라지며, 자립준비청년이나 보호연장아동의 경우 본인부담금이 면제됩니다.

 

서비스 가격

(1회당 바우처 단가) 1급 유형은 8만원, 2급 유형은 7만원

(본인부담금) 이용자는 서비스 가격에서 정부지원금을 제외한 차액을 본인 부담

 

본인부담금 결정

기준 중위 소득 본인부담률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 0%
기준 중위소득 70% 초과 ~ 120% 이하 10%
기준 중위소득 120% 초과 ~ 180% 이하 20%
기준 중위소득 180% 초과 30%

※ 자립준비청년 및 보호연장아동, 법정한부모가족 본인부담률 0%

 

본인부담금
출처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서비스 제공 기관 및 신청 방법

 

서비스는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는 등록된 기관을 통해 제공됩니다. 신청은 본인 또는 법정대리인이 주민등록상 거주지의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필요한 서류와 본인부담금을 확인한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마무리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은 국민의 정신건강을 돌보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이 사업을 통해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많은 이들이 적절한 상담을 받을 수 있게 되어, 국민 전체의 마음건강 증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만큼, 심리상담이 필요한 분들은 이 사업을 적극 활용해 보길 권장합니다.

728x90
반응형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