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성 호흡기 감염증인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으로 인해 영유아 입원 환자가 증가하면서, 방역당국이 개인위생 수칙 준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RSV는 주로 가을부터 이른 봄까지 유행하며, 특히 0~6세 영유아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이러스입니다. 발열, 기침, 콧물 등의 증상을 보이는 이 질환은 일반적으로 자연 회복되지만,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나 고령자에게는 폐렴과 같은 하기도 감염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RSV의 주요 증상과 감염 경로, 예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주요 증상
RSV 감염의 증상은 경미한 감기 증상에서부터 심각한 호흡기 질환까지 다양합니다.
초기 증상
콧물, 기침, 재채기, 열, 인후통
심각한 증상 (주로 유아와 고위험군에서 발생)
천명(쌕쌕거림)
빠른 호흡 또는 호흡 곤란
청색증(입술이나 손발이 푸르게 변함)
식욕 저하 및 탈수
감염 경로
RSV는 주로 감염된 사람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 중으로 전파되며, 감염자의 손이나 물건에 접촉 후 눈, 코, 입을 만질 때 전염될 수 있습니다. RSV는 직접 접촉이나 오염된 표면을 통해서도 쉽게 전파됩니다.
치료 및 관리
RSV 감염증은 대부분의 경우 대증 치료(증상 완화)로 관리됩니다.
가벼운 감염의 경우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해열제 및 진통제(의사의 권고에 따라)
심각한 경우
산소 공급
입원 치료 (중증 호흡 곤란 시)
소아나 면역저하자의 경우 항바이러스제 사용 고려
예방 방법
손 씻기
흐르는 물에 비누로 자주 손을 씻기
기침 예절 준수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입과 코를 가리기
고위험군 보호
영아와 노인과의 접촉을 피하거나 주의
감염 시 격리
감염된 사람은 공공장소 방문 자제
마무리
RSV는 대부분의 건강한 성인에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영아와 노인에게는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건강한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 음주 문화, 건강하게 즐기는 법(오해와 진실, 그리고 금주 실천 법) (46) | 2024.12.17 |
---|---|
2025년 최저임금 얼마일까? 얼마나 올랐나?(월급 및 적용 대상 총 정리) (46) | 2024.12.11 |
겨울철 비상진료와 의료개혁 (필수의료 강화 집중) (38) | 2024.12.01 |
블랙아이스 발생원인과 안전운전 꿀팁 (35) | 2024.11.30 |
한파 대비 행동요령 완벽 가이드 (37) | 2024.11.27 |